본문 바로가기

Featured/Practical Nutrition (실용영양학)

도적강기탕(導赤降氣湯)에 쓰이는 약초 분석(부작용 조심)


도적강기탕(導赤降氣湯)에 쓰이는 약초



형방도적산(荊防導赤散) VS 도적강기탕(導赤降氣湯)

형방도적산은 소양인(少陽人)의 비수한표한병(脾受寒表寒病)에서 나타나는 

두통·결흉(結胸: 가슴과 배가 답답하며 아픈 열병)과 

흉격번열(胸膈煩熱: 심장과 비장 사이의 가슴 부분이 뜨거운 병) 등을 치료하는 처방.

1894년 이제마(李濟馬)가 지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 처음으로 제시된 처방이다. 



이 처방의 구성은 생지황(生地黃) 11.25g, 목통(木通) 7.5g, 현삼(玄蔘)·과루인(瓜蔞仁) 

각 5.625g, 전호(前胡)·강활(羌活)·독활(獨活)·형개(荊芥)· 방풍(防風) 각 3.75g으로 되어 있다.


형방도적산 본방 내용에 복령(茯苓)과 택사(澤瀉)의 

두 가지 약물을 추가한 처방이 도적강기탕으로 

소양인의 표병증(表病症)에 속하는 결흉증을 다스려주는 처방이다.


생지황은 심장과 신장에 영향을 미쳐 화(火)를 내려주고 

흉부에서 발생하는 상기감(上氣感: 피가 뇌로 올라가는 느낌)을 진정시켜준다. 

목통은 심장의 화와 폐장의 열을 다스려주고 화기가 울결되어 

발생한 체기를 소변으로 배설시켜주는 약이다.


현삼은 음(陰)을 보하여주고 화를 맑게 해 주며, 

과루인은 흉부의 화를 내려주고, 열감을 수반한 답답한 증세를 제거하여주는데, 

이들 약물이 양이 성하고 음이 약한 소양인에게 음을 보하여주고 

양을 억제하여주는 작용을 함으로써 정상화시키는 기본적인 작용을 한다.



전호가 추가되어 비(脾)의 기능을 부드럽게 하고 화를 내려주고 

담을 없애주므로 흉부의 화를 처리하는 데 만전을 기하고, 

독활과 강활이 하초의 사기를 없애주며, 

형개와 방풍은 흉부와 두부의 화를 제거하여줌으로써 

인체의 상부와 하부에서 열을 없애줄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는 처방이다.


출처정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강활(羌活)  3.75g  

분류 : 산형과(Umbelliferae)  

학명 : Ostericum koreanum (Max.) Kitagawa  

사진출처/ 우리주변식물생태도감 강병화 | 



땀이 안 나고 열이 심하며 머리와 전신의 

통증이 있을 때에 사용하면 효과가 있다. 

관절과 근육질환에 널리 쓰이고, 

특히 찬 기운을 느끼게 되는 상반신의 근육통에 효능이 있다.

안면신경마비에 독활·방풍(防風)을 배합하여 치료하기도 한다. 

신경통과 중풍으로 인한 반신불수·보행장애 등에도 널리 사용한다.

약의 용량을 10g 이상 쓰는 것은 금해야 한다. 




과루인(瓜樓仁)  5.625g

(Trichosanthes kiriliwii var. japonica KITAMURA )

사진출처/ 풍운가 약초산막


열성 기관지염(옆구리에 담이 있는 사람)으로 

가래가 늘어 붙은 환자에 좋은 약효가 있다. 

폐를 보하며 적셔 주며 기를 내려 줌으로서 담을 삭아 없애준다. 

급성기관지염, 늑막염, 폐렴등에 의한 기침, 가래, 뻐근함을 느끼는 흉통에 좋은 약효를 가진다. 

기침을 낫게 하는데 주요한 약이다. 

소화불량이나 위장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변비 증세를 쉽게 개선하여 

규칙적으로 통변을 할 수 있게 해준다. 

과루근(하늘타리의 뿌리)은 소갈로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면서 그득한 것을 낫게 하며, 

진액을 보충하여 갈증을 풀기 때문에 당뇨로 인해 생기는 소갈증을 치료하는데 아주 효과가 좋다. 

장위속에 오래된 열과 황달로 몸과 얼굴이 누렇고 입술과 입안이 마르는 것을 낫게 한다. 

소장을 잘 통하게 하며 고름을 빨아내고 독을 삭게 한다. 

월경을 잘 통하게 하며, 다쳐서 생긴 어혈을 삭아지게 한다.



독활(獨活) 3.75g  

땅두릅(구안독활, 九眼獨活), Aralia cordata Thunb. 

땃두릅(장백총목, 長白楤木) 


사진출처/ 위키백과


사진출처/ 다음 이미지 검색.


학명 : Aralia cordata Thunb (Aralia continental)

약성은 온화하고 맛은 쓰고 맵다. 근육통이나 마비에 많이 쓰이는데, 

특히 목 주위의 근육이나 허리·척추·무릎의 관절에 통증이 있거나, 

하반신에 마비를 일으키는 증상에 적용된다. 

두통이 심하여 머리가 조이는 듯이 아프고 어지러우며, 

혀에는 백태가 끼는 감기증상에 효과가 있다.


강활(羌活)에 비하여 해열·발한 작용이 약하고 

완만하므로 강활과 합해서 쓰면 신경통 치료에 더욱 효과적이다. 

독활은 체내의 수분을 배설하는 효능이 강활보다 강하다.

중풍의 반신불수와 피부의 소양증에도 널리 쓰이는데, 

성질이 온화하므로 한여름에는 쓰지 않는 것이 좋다. 

한방에서 많이 쓰이는 약재로,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중풍의 반신불수에 쓰이는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과 안면신경마비에 쓰이는 이기거풍산(理氣祛風散)이 있다.



목통(木通) 7.5g

으름. 학명은 Akebia quinata DECNE


사진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자명은 목통(木通)·통초(通草)·임하부인(林下婦人)이며, 

그 열매를 연복자(燕覆子)라 한다. 

열매는 맛이 달고 식용이지만 씨가 많이 들어 있다. 

생김새나 맛이 바나나와 비슷하여 ‘코리언 바나나’로 부르기도 한다.

어린 순은 나물로 이용하고 줄기는 바구니제조 원료로, 

줄기와 뿌리는 약으로 쓰이는데, 특히 이뇨·진통의 효능이 있어 

소변불리·수종·관절염·신경통에 치료제로 사용한다.


중국 약전에서는이 이뇨제, 소염, 진통제

중국서 전통적으로 주요사용은 수유부의 충분한 수유를 위해서 썼다.

식물의 약용 부분은 나무 줄기.

줄기는 약 30 %의 칼륨 염을 포함하고 있다.

(In the Chinese pharmacopoeia it is believed to be therapeutic as a diuretic, 

antiphlogistic, galactagogue and analgesic. 

The principal use of the herb in China is as a traditional remedy 

for insufficient lactation in nursing mothers. 

The medicinal part of the plant is the woody stem which is sliced 

in transverse sections and prepared as a dec.oction. 

The stem contains approximately 30% potassium salts thus giving the diuretic action).



방풍(防風) 3.75g 

방풍나물(防風나물:Japanese Hogfennel) 

미나리 과: Peucedanum japonicum

사진출처/ 농림축산 식품,aT

풍을 예방한다고 하여 이름이 지어진 방풍나물(갯기름나물)은 

예전에는 주로 약용식물로 사용했으나 

지금은 쌉싸름한 맛을 이용한 식재료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방풍은 원방풍, 갯방풍, 식방풍의 3가지 품종으로 나뉘며 

식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식방풍은 발한, 해열, 진통의 효능이 있다. 

방풍나물의 어린 순은 나물로 조리해먹고, 

뿌리는 진통, 발열, 두통, 신경마비 등을 완화하는 약재로 사용한다.



복령(茯笭)

Rumph, P. cocos Curr.

죽은 소나무 뿌리에서 자라는 균핵


사진출처/ Daum 백과사전

벌채한 지 3~8년이 지난 소나무의 뿌리 주위에 기생하는 부정형의 균체

4~5년 된 것을 한방에서 양품으로 친다. 

백색이고 질(質)이 견실한 것을 백복령이라 하여 상품으로 정하고, 

홍색이며 질이 가볍고 약한 것을 적복령이라 하여 하품이라 한다.

성분은 식물섬유소·파키모스(pachymose)·과당·포도당·탄산칼슘 등.

성질은 평(차거나 덥지 않고 중간인 것)하고 독이 없으며, 

단맛이 나면서 약간 걸끄러운 맛을 띠고 있다.


주로 심장·폐·비장·위·신장의 경락에 작용한다. 

복령은 필요없는 수분이나 습기가 체내에 머물지 않도록 배출시키고, 

소화기능을 튼튼하게 하며 정신신경계통을 안정시키는 등의 효능이 있다. 

이는 주로 소변의 이상을 동반하는 부종이 있을 때 수분을 조절·배출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수분이 국소에 장기간 머물러서 끈끈해진 것을 담음이라 하는데, 

그로 인해 생기는 위에서 출렁거리는 소리인 

수양성 구토, 가래, 기침 등도 같이 다스린다.



생지황(生地黃) 11.25g  

학명:Rehmannia glutinosa (Gaertn.) Libosch. ex Steud. 

분류군:Scrophulariaceae(현삼과) Aka-yajio 


사진출처/ 다음백과


중국이 원산지이며 뿌리를 약으로 쓰기 위해 심고 있는데, 

고려시대에 씌어진 〈향약구급방 鄕藥救急方〉에 실려 있는 점으로 보아 

고려시대 또는 그 이전부터 심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늦은 가을에서 이듬해 싹트기 전에 걸쳐 뿌리를 캐서 

그늘의 모래에 묻어둔 것을 생지황(生地黃)이라고 하고, 

토양이 얼기 전에 캐서 움에 저장한 뒤 그늘에 말린 것을 건지황(乾地黃), 

쪄서 말린 것을 숙지황(熟地黃)이라고 한다.


생지황은 양혈제(凉血劑)로, 

약간 쓴 맛이 나는 건지황은 민울증(悶鬱症)에, 

담홍색의 숙지황은 보혈제·강장제로 쓰는데, 

이러한 모든 것들은 몸이 허약할 때, 

특히 결핵에 걸려 몸이 약해졌을 때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호(前胡) 3.75g

성분 : decursodie I-V, nodakenin, decucursin, decursinol, badinin 


사진출처/ 우리주변식물생태도감 강병화


바디나물/ 

개당귀, 일전호(日前胡), 사향채(射香菜), 만호(滿胡), 전호(前胡), 토당귀(土堂歸), 야근채(野芹菜)

간질, 감기, 건비위, 건위, 곽란, 구안괘사, 기력증진, 기부족, 부인병, 빈혈, 사기, 산풍소담, 야뇨증, 이뇨, 정혈, 지구역, 진정, 진통, 진해, 청열해독, 치통, 통경, 통리수도, 투통, 폐기천식, 

폐농양, 폐렴, 폐혈, 해수, 해열.



택사(澤莎)     

택사  channelled-waterplatain

택사과(Alismataceae)  학명 : Alisma canaliculatum A. Br. et Bouché

사진출처/ 우리주변식물생태도감 강병화


쇠태나물이라고도 한다. 

관상용·약용으로 이용된다. 뿌리줄기를 택사라고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주로 호흡기·피부과 질환을 다스린다.

각기, 간경변증, 감기, 강장보호, 고혈압, 골절번통, 당뇨병, 두통, 발열(신열), 방광염, 보신·보익, 부종, 

서증, 설사, 소갈증, 소변불통, 습진, 신장결석, 신장기능강화, 신장염(만성신장염), 

심장병, 위하수, 유즙분비부전, 이뇨,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염, 종창, 창종, 해수, 해열, 현훈증



현삼(玄蔘) 5.625g

현삼(玄蔘)F 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Scrophulariae Radix 

(玄蔘科 : Scrophulariaceae) 


사진출처/ 민속ㆍ특산식물사전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약용 : (뿌리) 청열, 해독, 소종작용이 있다.



형개(荊芥) 3.75g

학명:Schizonepeta tenuifolia var. japonica (Maxim.) Kitag. 

분류군:Labiatae(꿀풀과) 일명:Keigai 漢名: 광대싸리...

사진출처/ 다음백과


온포기를 형개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주로 운동계·이비인후과·순환계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각기, 감기, 갱년기장애, 경련, 곽란, 근육통, 농가진, 눈이 실 때, 두통, 마비, 변혈증, 보혈, 붕루, 비뉵혈, 옹종, 은진, 인후염·인후통, 임파선염, 자궁탈, 좌섬요통, 중독, 진통, 출혈, 취한, 토혈, 편도선비대, 편도선염, 풍, 피부병, 한열왕래, 항문주위농양, 해열, 혈우병.




미국 제약회사 창립자로 잘 알려진 엘리 릴리(Eli Lilly)는 한때 이런 말을 했다;

" 부작용이 없는 약은 전혀 약이 아니다".

A drug with no side effects is no drug at all.

나는 여기에 더해 (용량이 정해 제공된 것을 제외하고는)

약과 독은 다르지 않다라고 해야할 것 같다.

- <건강의 열쇠, 효소>의 저자, 하워드 루미 박사



이 글의 작성을 위해 사용한 소스정보/

Howard F. Loomis, D.C., Enzymes, The Key to Heath Volume 1 The Fundamentals. 

Madison, WI, USA American Printing Company, Inc 2012

다음백과, 영어백과, 우리주변식물생태도감 강병화, 풍운가 약초산막, 위키백과,

민속ㆍ특산식물사전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번역, 해설 by 황유진 (CNC, Yujin Hwang)



Yujin A. Hwang 이글을 작성하면서 솔직히 한국어인지 한글인지 이해못할 용어임에도 참을성을 가지고 분석한답시고 시도 해보았다. 왜? 이해못할 한약 부작용의 뉴스가 뜰때마다 동의보감, 본초강목등 한방/약초의 민간요법에 의존하여 살아온 세대에겐 충격이기때문에...

사업자 정보 표시
sdscom | 황인옥 | 서울시 송파구 방이동 22-5 대림리시온 801 | 사업자 등록번호 : 220-02-87546 | TEL : 031-8022-7655 | Mail : design111@daum.net | 통신판매신고번호 : 87546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