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Y's Kitchen Dictionary/Vegetables(채소)

무(Korean Radishes)

우리나라 고유의 채소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무는 본래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다.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에 중국을 통해 들어왔고 재배는 고려시대부터 하기 시작했다. 

무는 한자어로 '나복(蘿蔔)'이라고 불렀으며 나박김치라는 말도 여기서 유래하였다.


김장철 미국, 워싱턴주한국 마켓에 무우가 진열된 풍경.



지역별로 기후와 온도가 다르다 보니 무의 형태와 이름도 다르게 불린다. 

하천 지류에서 재배하는 무는 길쭉하고 얇아 단무지용으로 사용하며 

7월에서 9월에 평창이나 정선, 무주 등 산간지역에서 재배하는 고랭지 무는 짧고 둥글다. 

경북 경주시에서 나는 무는 '계림무' 또는 '조선무'라 하고 경북 안동시 풍산면의 것은 '풍산무', 

경남 진주시 대평면의 무는 '진주대평무', 서울의 무는 '경성무', 또는 '조선무'라고 한다. 

무는 뿌리와 줄기 부분으로 나눠볼 수 있는데, 둘 다 생으로 먹을 수도 있지만 말려서 먹으면 맛과 효능이 달라진다.


유진의 텃밭에서 기른 무청준비중인 울퉁불퉁 오가닉 무. 2009. 


기관지에 좋은 무

무는 비타민C가 풍부한데 속보다 껍질 부분에 약 2배 정도 많다. 

비타민C는 면역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고 전분을 분해하는 아밀라아제 효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소화에 도움을 준다. 

또한 허약해진 비위장을 튼튼하게 해준다. 

무의 매운맛에는 항암 효과가 있으며 그냥 먹는 것보다 갈아 마시면 매운맛이 더 강해진다. 

특히 무에는 섬유질도 풍부하여 장내 노폐물을 제거하므로 변비 해소에 도움을 준다. 

수분이 풍부해 이뇨 작용을 통한 숙취 해소에도 효과가 있다. 

오이에는 무의 비타민C를 파괴하는 효소가 들어 있기 때문에 함께 먹지 않는 것이 좋다.

한방에서는 무를 폐와 인후를 건강하게 하는 식품으로 여겨 인후통, 진해거담의 치료약으로도 사용한다. 

특히 무즙은 담을 제거하고 기침을 멎게 하며 각혈을 다스리고 속을 따뜻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목감기, 기침, 기관지염이 있는 사람에게 좋다. 

무를 깍둑썰어 유리병에 담아 꿀과 함께 2~3일 정도 재어두었다가 무즙을 내어 먹어도 효과가 크다. 

영양분을 가득 충전한 겨울 무는 맛이 달아 어떤 요리를 해도 맛이 있다. 

특히 단맛이 강한 푸른색 부분은 생채나 나물, 전을 부쳐 먹는 것이 맛있고, 

시원한 맛의 흰색 부분은 국이나 탕, 조림 등의 요리에 사용하면 개운한 맛을 낼 수 있다.

무를 보관할 때는 흙이 묻어 있는 상태에서 신문지에 싸서 바람이 잘 통하고 햇빛이 들지 않는 공간에 보관하되 

7일 안에 먹는 게 맛있다. 만약 요리를 하다가 무가 남았다면 수분이 날아가지 않도록 

랩으로 포장해 냉장고에 넣어 보관하도록 한다.

뼈에 좋은 고칼슘 덩어리, 무말랭이
수분이 90% 이상인 생무가 공기 중의 미네랄과 결합하여 화학반응을 일으키며 마르면 무말랭이가 된다. 

무말랭이에는 칼슘이  생무와 비교했을 때 15배나 더 많은데, 인삼보다 무말랭이가 좋다는 옛말이 있을 정도다. 

무말랭이는 말리는 도중 수분이 증발하여 영양 성분이 압축되어 단맛이 강해지는데. 

무말랭이는 무를 6cm 길이로 도톰하게 썬 다음 소금과 설탕을 약간 넣고 까불러 채반에 널어 말린다. 

무에는 수분이 많아 말리다가 곰팡이가 나기도 하는데, 

실에 꿰어 빨랫줄에 널어두면 바람도 잘 통하고 곰팡이 걱정 없이 잘 말릴 수 있다. 


무말랭이는 물에 불린 후 물기를 꼭 짜고 갖은 양념으로 무쳐 먹는다. 

불리는 물에 양파나 생강 우린 물을 사용하면 특유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말린 무말랭이를 보관할 때는 밀폐 용기에 넣어 실온에 보관하고 습도가 높은 여름에는 냉동 보관하도록 한다. 

무말랭이 말고 무오가리라는 것도 있는데, 

무를 큼직하게 썬 후 겉면을 시들시들하게 말려 

고등어나 조림 요리를 할 때 넣으면 살캉살캉한 식감의 무를 맛볼 수 있다.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주는 무시래기
시래기에는 딸기보다 많은 비타민C가 많이 들어 있으며, 

당근의 두 배에 달하는 비타민A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비타민D의 전구체인 에르고스테린 성분이 풍부한 것이 특징. 

에르고스테린은 소화와 면역체계에도 도움을 주어 겨울철 감기 예방에 효과가 있다. 

시래기는 철분 함유량이 높아 빈혈 예방에도 좋으며, 칼슘과 식이섬유가 풍부해 동맥경화를 예방해준다. 

겨울엔 움직임이 적어 살이 찌기 쉬운데 무청에는 식이섬유가 풍부해 변비는 물론 체중감량에도 도움을 준다.

시래기는 무를 다듬은 뒤 잘라낸 무청에서 시들고 질긴 겉잎은 떼어버리고 

끓는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데친 뒤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말린다. 데치지 않고 새끼로 꼬아서 겨울바람에 말리기도 한다. 

무청은 건조할 때 햇빛을 쬐면서 비타민D가 풍부해지는 대신 식감이 질겨지는 단점이 있다. 

시래기는 데친 뒤 한 김 식혀 바로 급랭하여 냉동실에 넣어두면 부드럽게 먹을 수 있다. 

시래기는 국으로 끓여 먹거나 

들깨즙을 넣고 익혀 나물로 먹을 수도 있으며, 

송송 썰어 양념을 한 뒤 쌀과 함께 영양밥을 만들어 먹을 수도 있다.

좋은 무 고르는 방법
잔뿌리가 많고 표면에 흠집이 난 것은 금방 상하기 쉬우므로 패스. 

표면이 희고 매끄러운 것이 좋으며 단단하고 무거운 것을 고르도록 한다. 

또 가로줄이 있어야 건강하다는 증거. 푸른 윗부분과 흰색 아랫부분의 구분이 뚜렷하고, 

쭉 뻗은 왜무보다는 모양이 둥글고 두께가 10cm, 길이가 20cm 이하인 중간 크기 무가 맛있다. 

또한 무청이 연결된 윗부분의 줄기가 푸른빛을 띠고 단단한 게 좋은 무다. 


배추 소, 총각김치, 깍두기, 동치미 무 등 쓰임에 따라 무를 선택하는 기준이 달라지는데, 

배추 소에 쓸 무는 둥글고 단단하며 머리 쪽이 푸른 게 좋고 깍두기 무도 몸매가 고른 것을 사야 모양이 일정하다. 

총각무는 밑동 쪽으로 갈수록 굵어지면서 둥글게 퍼진 것이 좋고, 

동치미 무의 경우 윗부분이 파랗지 않은 중간 크기의 무로 담가야 국물이 시원하다.

*비트/레디쉬/콜라비

-레디시/겉은 붉고 속은 하얀 것이 특징. 

단백질과 비타민이 풍부해 면역력을 강화하고 항산화 작용을 하여 노화 방지에 효과적이다. 

주로 생으로 잘라 샐러드로 먹거나 절임, 무침으로 많이 먹는다.

-콜라비/ 양배추와 순무를 교배한 채소로 비타민C와 칼륨, 칼슘이 풍부하면서도 칼로리가 적어 혈압을 내리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콜라비에 함유된 칼륨은 체내에 쌓인 염분을 배출해주어 건강에 도움을 준다. 

콜라비는 몸통은 물론 줄기에도 영양가가 풍부해 생채나 물김치용으로 적당하다.

-비트/ 비트는 심장병이나 항산화 작용이 탁월하며 철분이 풍부해 빈혈예방이나 조혈 작용에 도움을 준다. 

비트는 생으로 샐러드에 넣어 먹거나 스튜 등에 넣어 먹는다. 

예쁜 빛깔 덕에 피클, 떡, 핫케이크를 만들 때도 사용한다.


화이트 무는 영어로 여러 가지 이름으로 알려져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무. 

다른 이름은 mooli, 동양 무, 일본어 무, 중국 무, 한국어 무, 보라 복이 (가) 있습니다. 


 미국서 다콴은 일본의 무 (大 根)에서 파생된 "큰 뿌리"라는 뜻이다.

그러나, 그린색이 돌면서 둥근것은  "한국무"라고 한다. 

영국에서는 남아시아 영향으로 "mooli" ( 힌디어)불린다.


무는 100 그램서빙당 18 칼로리로 저 칼로리 식품이며,

비타민 C( RDA) 및 활성 효소 마이로지나아제( myrosinase)가 포함되어 있다.


White radishes are known by several names in English,

most commonly daikon.

Other names include mooli, Oriental radish, Japanese radish, Chinese radish, Korean radish, and lo bok.

The English name "daikon" derives from the Japanese daikon (大根), literally "large root" and is the most common name for the vegetable in North America. 

However, the greener, rounder Korean varieties are rarely called daikon and are instead usually referred to as "Korean radish". 


In the United Kingdom with its stronger South Asian influence, the name "mooli",

from Hindi mūlī, is used in addition to daikon.


Daikon is very low in food energy. A 100-gram serving contains only 76 kilojoules or 18 Calories (5 Cal/oz), but provides 27 percent of the RDAfor vitamin C. Daikon also contains the active enzyme myrosinase.


사업자 정보 표시
sdscom | 황인옥 | 서울시 송파구 방이동 22-5 대림리시온 801 | 사업자 등록번호 : 220-02-87546 | TEL : 031-8022-7655 | Mail : design111@daum.net | 통신판매신고번호 : 87546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Y's Kitchen Dictionary > Vegetables(채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리(fiddleheads)  (2) 2014.05.04
오이(Cucumbers)  (0) 2014.03.06
돼지감자(Sunchoke)  (0) 2014.02.09
브뤼셀 새싹(brussel sprouts)  (0) 2014.01.24
Beet(비트)  (0) 2014.01.21